화재사건으로 신뢰 추락한 쿠팡, 창업자가 나서야
화재사건으로 신뢰 추락한 쿠팡, 창업자가 나서야
  • 더마켓
  • 승인 2021.06.20 19: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켓배송’으로 국내 대표 이커머스 기업으로 성장한 쿠팡이 물류센터 화재 사건을 계기로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쿠팡 탈퇴를 독려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실제 불매 운동 조짐마저 일고 있다. 인과성이 드러나지않은 화재 사건에 소비자들이 이처럼 분노하는 데는 창업자의 ‘이상한’ 행태에 기인한다.
 
창업자인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올해 3월 미국 뉴욕 증시에 성공적으로 쿠팡을 상장해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김 의장은 쿠팡 국내 법인을 100% 지배하는 미국 상장사 쿠팡 Inc의 최고 경영자 겸 이사회 의장직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아마존, 알리바바로 불리며 출혈 경쟁이 심한 이커머스 업계에서 성공한 스타트업의 기린아라는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쿠팡의 성공 이면에는 과도한 배송 압박에 따른 노동 환경 문제가 제기됐다. 빠른 배송을 강조하면서 물류센터 근무자들에 지나친 노동을 강요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심야 작업을 마치고 귀가한뒤 자택에서 숨진 장덕준씨 등 과로사 사례도 꼬리를 물었지만 이후 회사 차원의 발빠른 대응은 부족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쇼핑몰 이용이 늘면서 지난해만해도 전년 대비 91% 늘어난 13조원 매출을 기록하는 등 눈부신 실적에도 회사 운영 방식은 여전히 논란을 빚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이천 덕평물류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진화 작업을 진두지휘하던 소방서 소속 119구조대장이 숨진채 발견되자 소비자들의 분노가 쿠팡 임원진에 쏠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김범석 의장은 물류센터 화재가 발생한 지 5시간만에 쿠팡 국내 법인 의장, 등기이사 자리에서 사임을 발표해 화재 사고에 따른 책임을 피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현행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르면 안전 의무를 위반한 사업주에 대해 엄한 책임을 묻도록 규정하고 있다. 내년 1월부터 시행하는 법안이라 소급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김 의장이 여론 재판을 피하려는 의도로 비친 것이다. 이는 김 의장이 그동안 국내에서 벌어진 과로사 등 쿠팡 관련 사건사고에 한번도 사과의 뜻을 밝힌 적이 없다는 점과 무관치 않다. 쿠팡 창업자가 사업 실적은 고스란히 누리면서 그에 따른 책임은 지지 않는다는 비난을 사는 대목이다.

쿠팡 측은 이번 화재에 사과하고 숨진 구조대상 유족을 평생 지원하는 등 대책을 내놓았다. 소비자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 이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김 의장이 나서야 한다.

한국 쿠팡의 지위에서 물러났으니 그만이라는 식으로 대응한다면 쿠팡은 소비자들 사이에 한국 기업이 아니라 미국 기업의 한국 지사라는 이미지를 심어줄 뿐이다. 창업자가 본사의 리스크를 줄이는 데 선제적으로 나서는 것은 위기 대응 매뉴얼의 기본이다. 더욱이 쿠팡이 창업이래 최대 위기에 몰렸다는 지적이 나오는 판 아닌가.

전국에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쿠팡 측은 이번 화재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는 데도 서둘러야 한다. 물류센터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은 여러 차례 화재 위험 등을 제기했는데도 회사 측에서 안일하게 대응해 결국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참사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물류센터는 상품과 포장용 박스 등 가연성 소재가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만큼 화재에 철저히 대비해야한다. 미로와 같은 물류센터 구조도 화재 진화에 어려움을 겪게 한 요인으로 꼽힌다. 책임감이 강한 한 소방대원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쿠팡은 화재 예방 대책을 만드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