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로 사업 접는 면세점 또 허가한다니
적자로 사업 접는 면세점 또 허가한다니
  • 더마켓
  • 승인 2019.10.31 2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산이 면세점 사업에 진출한 지 4년 만에 철수하기로 했다. 면세특허권 사업 기간이 1년 이상 남아 있지만 누적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사업을 접기로 한 것이다. 지난 5월 사업을 포기한 한화에 이어 두 번째 면세 특허권 자진 반납이다.

두타면세점은 2016년 5월 개점 이후 연매출 7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했고 지난해에는 흑자 전환에도 성공했다. 하지만 개점 이후 3년간 누적 영업적자가 무려 600억원을 넘는다. 두산은 더 이상 단일점 규모로 사업을 지속해 수익을 내는 게 어렵다고 판단한 것 같다.

면세점 사업이 이처럼 어려워진 데는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으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발을 끊은 영향이 적지 않다. 중국 단체관광객이 빠진 자리에 보따리상(다이궁)이 채워졌으나 다이궁을 끌어들이기 위한 거액의 송객수수료와 마케팅비를 감당하기도 쉽지 않다.

송객수수료는 무려 매출의 40%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사업이 어려워진 것은 불과 3년 만에 시내면세점이 6개에서 13개로 2배 이상 늘어난 영향이 크다. 대기업의 독과점을 막자는 취지로 신규 진입 요건을 완화하고 특허기간을 5년으로 줄인 소위 ‘홍종학법’을 시행하면서 사업자 수가 크게 늘어난 것이다.

2014년 6개에 불과했던 서울 시내면세점은 현재 13개로 2배 늘어났다. 무리한 면세점 확대 정책이 화근이 된 셈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난해 12월 시내면세점을 추가 설치하겠다고 공언했다. 다음달 5개의 입찰을 앞두고 있는데 흥행 실패가 예상되고 있다.

안 그래도 과잉인 시장에 사업자가 더 늘어날 경우 제살깎기만 더 심화시킬 게 뻔하다. 면세점의 부실이 가중되면서 우리 관광산업의 경쟁력마저 훼손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대안이 없는 것만은 아니다. 시대착오적인 면허 제도를 폐지하고 등록제로 전환하는 것이 옳다. 일정 수준의 자격을 갖추면 면세점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자율경쟁을 펼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업체도 나올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